본문 바로가기
질병의 원인과 치료

축농증의 원인 증상 치료

by 리모리모.. 2024. 3. 28.

축농증은 부비동염이라고도 합니다. 축농증은 부비동즉 콧구멍과 연결되어 있는 얼굴뼈 안에 있는 빈 공간에 바이러스 박테리아 또는 곰팡이가 침투하여 염증이 생기거나 감염되어 발병하는 질병입니다. 이 부비동으로 콧속의 환기와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염증이 생기게 되면 부비동내에 누런 콧물이 고여있게 되는 상태입니다. 다음에서 축농증의 원인 증상 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축농증

원인

축농증은 감염, 알레르기 구조적 이상 환경의 자극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축농증의 일반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축농증의 대부분은 감기나 인플루엔자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바이러스는 부비동 막에 염증을 일으켜 부비동의 환기와 배출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세균의 감염은 축농증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바이러스성 감염 후 2차 감염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폐렴연쇄구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모락셀라 카타랄리스와 같은 박테리아가 세균성 축농증에 흔한 원인입니다. 이 박테리아는 이미 염증이 있는 부비동을 감염시켜 증상을 악화시키고 질병을 장기간 지속 시킬 수 있습니다. 세균성 축농증은 이전의 바이러스 감염 없이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비중경은 비강을 두 개의 방으로 나누는 연골과 뼈의 얇은 벽입니다. 이 벽이 한쪽으로 치우치면 비중격 만곡이 발생하여 비강의 비대칭을 이루게 됩니다. 이러한 비대칭은 공기 흐름을 방해하고 정상적인 부비강 배출을 방해하여 염증을 유발할 수 있게 됩니다. 비용종은 비강 내벽이나 부비동에 발생하는 비암성 종양입니다. 이 종양은 커지면서 비강 통로를 막아 부비동의 배출과 환기를 방해합니다. 비용종은 축농증을 유발하며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비갑개는 점막으로 덮인 뼈 돌기로 구성되며 비강의 측면을 따라 위치합니다. 비갑개는 공기가 비강을 통과하여 폐에 도달할 때 공기를 따뜻하게 유지하고 여과하며 콧구멍 사이의 공기 흐름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비갑개가 알레르기 감염 자극제 또는 기타 요인으로 부풀어 오르게 되면 축농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꽃가루 집먼지 진드기 곰팡이 애완동물 특정 음식과 같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민감한 사람은 부비동에 염증을 일으켜 축농증 유발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또 차량 배기가스 담배 연기 미세먼지등을 흡입하면 코 점막을 자극하게 되고 장기간 노출되면 만성축농증에 걸리기 쉽습니다.

증상

부비동의 흔한 증상 중 하나는 안면 통증이나 압박감입니다. 이 증상은 일반적으로 이마 뺨 눈 코 주변에서 발생합니다. 통증이나 압박감은 경미하거나 욱신거리는 느낌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부비동에 염증으로 콧물이 배출하지 못하고 가득 차있으면 앞으로 구부리거나 누울 때 증상이 심하게 악화될 수 있습니다. 안면 통증이나 압박감과 함께 코막힘 짙은 콧물 기침 인후염 피로 후각 저하등 다른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증상의 상태와 기간은 축농증의 원인과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치료

축농증의 치료는 근본 원인 증상의 심각도 상태가 급성인지 만성인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다음은 축농증의 일반적인 치료입니다. 비강 세척은식염수나 네티팟을 사용하여 점액을 씻어 내고 코막힘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부비강 부위에 온찜질을 하면 안면 통증과 압박감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뜨거운 물이 담긴 그릇에서 나오는 증기를 흡입하거나 가습기를 사용하면 비강을 촉촉하게 하고  배출을 촉진시키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수분을 많이 섭취하면 부비동내 점액을 묽게 만들고 배출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일반의약품으로 이부프로펜이나 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는 얼굴 통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경구 또는 비강 충혈완화제는 코막힘을 줄일 수 있지만 반동성 충혈을 피하기 위해는 짧은 기간 동안만 사용해야 합니다. 알레르기가 부비동염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항히스타민제가 코막힘과 재채기를 관리하는데 도움이 됩니다.처방약으로는 부비동염이 세균 감염으로 발생하거나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항생제를 처방받습니다. 항생제 내성을 예방하기 위해 남용하거나 중도에 끊지 말고 처방받은 약은 다 복용하도록 합니다. 만성 부비동염의 경우 비강과 부비동의 염증을 줄이기 위해 비강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스프레이를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기타 치료법 으로는 심각한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특정 알레르기항원에 대한 알레르기 주사를 맞을 수 있습니다. 약물에 의해 반응하지 않는 만성 또는 재발성 축농증의 경우 부비동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이상으로 축농증의 원인 증상 치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부비동염은 기간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는데  급성 부비동염은 일반적으로 4주 미만 지속되며 감기나 독감 후 세균 감염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12주 동안 지속되는 아급성 부비동염 12주 이상 지속되고 재발하는 만성 부비동염 1년 이내에 여러 번의 급성 부비동염 발병하는 재발성 부비동염이 있습니다. 급성 부지동염은 지지요법을 통해 저절로 완치되는 경우가 있지만 만성 재발성 부비동염은 증상은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는 부비동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